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BST
- disjoint-sets
- deque
- 최단 경로 알고리즘
- 알고리즘
- 완전 탐색
- merge-sort
- 동적 계획법
- union-find
- 후위 표기법
- 3190번
- 트리
- 최소 비용 신장 트리
- quick-sort
- 프로세스의 상태
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- 프로세스
- 이진 검색
- binary search
- kruskal 알고리즘
- 자료구조
- CPU scheduling
- divide and conquer
- prim 알고리즘
- 이진탐색트리
- 서로소 집합
- 부분 집합
- 중위 표기법
- 알고리즘 문제
- 탐욕 알고리즘
- Today
- Total
목록CS 및 알고리즘 공부/CS (4)
Dionysus

가볍게 알아보는 CS 지식!아래 순서로 진행해볼게요!🧐 ☝🏻프로세스프로세스(Process)와 스레드(Thread)의 개념프로세스 상태 전이PCB (Process Control Block, 프로세스 제어 블록)문맥 교환(Context Switching)✌🏻프로세스 스케줄링스케줄링의 개념과 목적스케줄링 기법👌🏻스케줄링 알고리즘선점형 기법비 선점형 기법✌🏻프로세스 스케줄링✅ 스케줄링(Scheduling)의 개념과 목적✔️ CPU 스케줄링(CPU Scheduling)메모리에 올라온 프로세스(process)들 중 어떤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할지 순서를 정하는 것으로, 준비 큐(Ready Queue)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 CPU를 할당받을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. CPU 스케줄링이 발생하는 상..

가볍게 알아보는 CS 지식!아래 순서로 진행해볼게요!🧐 ☝🏻프로세스프로세스(Process)와 스레드(Thread)의 개념프로세스 상태 전이PCB (Process Control Block, 프로세스 제어 블록)문맥 교환(Context Switching)✌🏻프로세스 스케줄링스케줄링의 개념과 목적스케줄링 기법👌🏻스케줄링 알고리즘선점형 기법비 선점형 기법 ☝🏻 프로세스✅프로세스(Process)와 스레드(Thread)의 개념프로세스(Process)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메모리 상에서 실행되는 작업(task)의 단위로,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로드되어 실행중인 상태를 의미한다. '작업(task)'이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.(프로그램(Program) :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로, 컴퓨터에서 실..

목차💬 트리(Tree)💬 이진 트리(Binary Tree)💬 이진 트리 - 순회(traversal)💬 이진 트리의 표현💬 이진 트리의 표현 코드💬 힙(Heap)💬 연습문제 💬 트리(Tree)더보기비선형 구조로, 원소들 간에 1:n의 계층 관계를 가지는 자료구조이다.원소들 간에 계층관계를 가지는 계층형 자료구조하나 이상의 노드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으로, 노드 중 최상위 노드를 루트(root)라고 하며 나머지 노드들은 n개의 분리 집합(부 트리, subtree)으로 분리될 수 있음트리는 사이클이 없는 무향 연결 그래프이다.두 노드(정점) 사이에는 유일한 경로만이 존재함각 노드(자식 노드)는 최대 하나의 부모 노드가 존재함각 노드(부모 노드)는 자식 노드가 없거나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 있음트리..

📌 큐 (Queue)스택(stack)과 마찬가지로 삽입과 삭제의 위치가 제한적인 자료구조FIFO(First In First Out) 구조이다. ✔ 큐 사용을 위해 필요한 주요 연산```createQueue() : 공백 큐 생성enQueue(A) : 원소 A를 삽입enQueue(B) : 원소 B를 삽입deQueue(): 원소 반환/삭제enQueue(C) : 원소 C 삽입deQueue(): 원소 반환/삭제deQueue(): 원소 반환/삭제``` 🚀 클래스로 구현한 큐# 요소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클래스class Node: # 데이터를 저장할 변수 # 다음 요소를 가리키기 위한 변수 def __init__(self, value): self.value = value ..